본문 바로가기

한반도 지진112

Earth quake Gujarat, India 5.0M 작년 부터 관측되었던 지진 현상부터 최근에 이르기 까지 매우 불규칙적이며 예측할수 없는 지진 현상들이 발생하는 가운데 몇주동안 잠복기를 거쳐 발생하는 한반도 지진에 이르기 까지 매우 위협적인 지진 상황임이 아닐수 없다고 느껴집니다 일본처럼 수차레 발생하는 여진의 영향처럼 6월 세째주 에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 언제다시 연출될지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일본같은 지진피해가 한반도에 발생한다면 매우 유감스러운 사태가 발생할테지만 한반도가 유라시아판 내륙 안전한 지역에 위치했다는 착각 때문에 오히려 이런 급증 하는 이상징후에 매우 위태로운 위험에 처해 있다고 해도 관언은 아닐듯합니다 조금만 더 신경쓴다면 최근과 같은 지진상황에 지진의 위험으로 부터 착각하지 않은 대비를 할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 2012. 6. 20.
Earth quake Korea 현재 이번 지진은 최근 발생하는 지진 현상처럼 한반도에서 쉽게 나타나지 않는 지진 현상임을 알수 있듯이 유라시아판 내륙에서 볼수없는 아주 위험한 지진 현상이라고 볼수있습니다 단 한번의 강진으로 최근 가장 피해를 많이 이번 아프가니스탄 의 6.0 의 규모의 강진과 함께 점차적으로 중앙아시아로 불규칙적인 지진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혹시나 모르는 상황에 언제든 발생할수있는 지진재난에 항상 안전불감증에 빠져 있지 마시기 바라며 재난재해 대비 대책에 따르는 방송사의 안전대책 과 함께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책으로 강경하게 대응해 가길 바랍니다 항상 건강하고 안전한 6월 3째주 화요일 보내시기 바라며 항상 안전불감증에 빠져 있지 마시기 바랍니다. 2012. 6. 12.
Earth quake South Korea Jeollabuk-do Mujukun 3.9M 현재 이번 강진으로 인한 피해 규모는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전세계적인 대지진이 올해 가장 많이 관측되었고 시사할수있는 지진에 대한 현상이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도 볼수있는 부분입니다 물론 이런 전세계적인 지진현상으로 어느 지역도 예외라고 할수 없을만큼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느낄수 있으며 이번처럼 지진에 대한 피해가 있을수 있는 경우에대해 좀더 구체적이고 긴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도 볼수있습니다 한반도 역시 더이상 지진안전지대 가 아닌 언제든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것을 감안하여 좀더 안전불감증에서 벗어나 혹시 모를 또 다른 강진에 대해 대비해야되지 않을까 비춰지는 부분입니다. 2012. 5. 11.
Earth quake Eastern Turkey 4.7M 퇴화 하지 않은 본능적인 위협을 느낄만한 동물들과 자연 변화가 일깨워주는 현상들이 매우 더디고 늦게 진행 되고 있다는 사실에 아무도 중요하거나 우려하지 않고 그저 작은 변화에 신경쓰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그런 경우가 현재 지구가 가장 위협적이고 우려스러운 상황에 접어들고 있다는 사실과 이상기후에 또 다른 악재를 가져다고 주고 있다는 사실을 최근에서야 경각심을 가지고 일깨우고 있다는 점이 학계나 사회에서 그냥 넘어 갈수 없을 가장 우선시 부분이라고도 말하고 있습니다 분명 지구안에 생존하는 모든 개체와 최상위층 인간에게도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좀전보다 더 급진적이고 더 피부에 와닿는 환경변화에 더이상 대책을 세우지 않고 지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사실과 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 2012. 1. 20.